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자유

리밸런싱(Rebalancing)과 스탑로스(Stop Loss)

by 라이언하트킹덤 2025. 3. 18.

손익보다 더 중요한 손절! - 투자하려면 손절부터 셋팅하라!

[ I ] 리밸런싱(Rebalancing)

주식 투자에서 **리밸런싱(rebalancing)**이란 포트폴리오의 비율을 조정하여 목표한 투자 전략을 유지하는 과정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자산 배분이 변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리밸런싱이 필요한 이유

목표 비율 유지: 시장 변동으로 인해 특정 자산의 비중이 커지면 리스크가 증가합니다.
리스크 관리: 손실을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감정 개입 방지: 감정적인 투자를 피하고 계획에 따라 투자할 수 있습니다.


2. 리밸런싱 하는 방법

📌 1) 목표 비율 설정

  • 투자 목적과 리스크 허용 범위를 고려해 주식, 채권, 현금 등의 비율을 정합니다.
    • 예: 주식 50%, 채권 20%, 암호화폐 10%, 기타 10%, 현금 10%

📌 2) 현재 포트폴리오 점검

  • 일정 기간마다(예: 매 분기, 매년) 자산 배분을 확인합니다.
  • 비율이 목표에서 벗어났는지 확인합니다.

📌 3) 초과된 자산 일부 매도 / 부족한 자산 매수

  • 비중이 너무 커진 자산은 일부 매도하고, 부족한 자산을 매수하여 목표 비율에 맞춥니다.
  • 예: 주식이 70%로 증가하면 20%를 매도하여 채권과 암호화폐 등 다른 투자자산을 늘리거나 현금을 보유합니다.

📌 4) 세금 및 거래 비용 고려

  • 잦은 리밸런싱은 세금과 거래 수수료 부담을 높일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조정합니다.

3. 리밸런싱 주기와 전략

🔹 정기 리밸런싱: 매 분기, 반기, 1년 등 일정한 주기로 진행
🔹 비율 초과 시 리밸런싱: 목표 비율에서 5~10% 이상 벗어날 때 조정
🔹 시장 상황에 따른 리밸런싱: 경제 위기, 금리 변화 등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조정

🚀 리밸런싱은 장기적인 투자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꾸준히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4. 참고 도서

조던 김장섭의 저서 **『부의 체인저 2』**에서는 투자 전략의 일환으로 리밸런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나스닥 -3% 룰'**을 소개하며, 이를 통해 시장의 급락 시점을 공황으로 규정하고, -3%이상이 4번 나타나는 공황 상황이 오거나, 단순히 -3%가 한 번 뜨거나, 혹은 주가가 전고점 대비 하락하는 상황 등 이러한 시기에 투자자들이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전략은 시장의 변동성에 대응하여 포트폴리오를 조정함으로써 리스크를 관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리밸런싱은 투자자들이 장기적인 재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집니다.

 

[ II ] 스탑 로스(Stop Loss)

주식투자에서 손실을 줄이는 Stop Loss 기능

**Stop Loss(손절매)**는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하락하면 자동으로 매도하여 손실을 제한하는 기능입니다.

감정적인 결정을 피하고, 투자 원칙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Stop Loss의 필요성

과도한 손실 방지: 손실이 커지기 전에 미리 정해둔 가격에서 매도
감정적 투자 방지: 공포에 의한 추가 하락 매도를 예방
자본 보호: 일정 수준에서 손실을 제한하여 재투자 기회 유지


2. Stop Loss 설정 방법 (자동감시주문)

📌 1) 고정 퍼센트 손절 (예: -5%, -10%)

  • 매수가 대비 일정 퍼센트 하락하면 매도
  • 예) 10,000원에 매수 → -10%인 9,000원에 도달하면 자동 매도

📌 2) 지지선 기준 손절

  • 차트 분석을 통해 중요한 지지선(과거 최저점)을 기준으로 설정
  • 예) 최근 저점이 9,500원이면 이보다 조금 낮은 9,400원에서 손절 설정

📌 3) 이동 평균선 기준 손절

  • 20일/60일/120일 이동 평균선이 깨질 경우 손절 설정
  • 예) 60일 이동 평균선이 9,700원이면 이 수준에서 손절

📌 4) 트레일링 스탑 (Trailing Stop)

  • 주가 상승 시 손절선도 같이 올라가는 방식
  • 예) 10,000원 매수 후 10% 손절 설정 → 주가가 12,000원이 되면 손절선이 10,800원으로 자동 조정

3. Stop Loss 설정 시 주의할 점

너무 촘촘한 손절선은 비효율적 → 작은 변동에도 손실 확정 가능
개별 종목 특성 고려 → 변동성이 큰 종목은 손절선을 여유롭게 설정
매도 후 재진입 전략 고민 → 손절 후 다시 상승할 경우 재매수 기준을 마련


4. 스탑로스와 리밸런싱 차이점

 

구분 Stop Loss Rebalancing
목적 손실 방지 자산 비율 조정
방식 특정 가격에서 매도 일정 기간마다 비율 조정
주체 개별 종목 중심 포트폴리오 전체

Stop Loss는 개별 종목의 손실을 줄이는 전략이고, 리밸런싱은 전체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는 전략입니다.

🚀 !주의!

코로나 펜데믹이나 경제 공황과 같은 대폭락장의 상황은 자주 있는 일은 아니지만,

반드시 평상시에 자동감시주문(스탑로스) 설정을 하여 늘 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아무리 모니터링을 잘 한다고 해도 사람이 24시간 감시할 수도 없고, 

급락 시에는 대처하기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 주의사항 업데이트! [키움증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마켓은 ‘단일가 매매’가 아닌 ‘접속 매매’로 거래가 개시됩니다.
프리마켓은 현재 유동성이 적고,

  소량의 체결만으로도 주가가 크게 변동하거나 상·하한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감시주문은 지정한 조건을 충족하는 즉시 주문이 실행되므로,

  예기치 않은 가격에 주문이 접수되거나 체결될 위험이 있습니다.
자동감시주문 사용 시 ‘실제 체결 희망 가격’을 신중히 검토하시어 자동감시주문을 설정해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문의사항]
키움금융센터 1544-9000